반응형

온도 단위는 섭씨(℃) , 섭씨 절대온도 (K), 화씨 (℉), 화씨 절대온도(R) 가 있는데, 아래 공식을 통해 변환할수 있습니다.

화씨 섭씨 온도 변환 공식이 도출된 배경

화씨 온도를 섭씨 온도로 환산하려면 두 온도 체계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, 어는점(동결점)과 끓는점(비등점)을 두 온도 체계가 어떻게 측정하는지를 살펴보면 두 체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.

섭씨 온도 체계에서 어는점(동결점)은 0도(℃) 이고 끓는점(비등점)은 100도(℃)로 어는점과 끓는점을 100 등분하고 있습니다.

화씨 온도 체계에서 어는점은 32도이고 끓는점은 212도로 둘 사이는 180 등분되어 있습니다.

화씨를 섭씨로 환산하는 공식은 화씨에서 32를 뺀 값을 1.8로 나누는 것인데요, 32는 화씨 32도가 섭씨 0도라는 사실과 관계가 있고 1.8을 나누는 것은 화씨 온도 체계가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를 섭씨 온도 체계 보다 1.8배 더 많이 등분하고 있다는 사실과 관계가 있습니다.

필수 공식

  ℃ = (5/9)x(℉-32)
      = K - 273
  ℉ = R - 460  


Q1. 284 ℉ 는 몇 도(℃)일까요?

A1. (5/9)x(284-32) = 140 ℃
  
Q2. 410 K 는 몇 도(℃)일까요?

A2. 410 - 273  = 137 ℃

Q3. 684 R 는 몇 도(℃)일까요?

A3. 684 - 460 = 224 ℉
     (5/9)x(224-32) = 106.7 ℃    

반응형

+ Recent posts